우리는 검은색이 햇빛과 열을 가장 많이 흡수하기 때문에 여름에 입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색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본의 한 연구에 따르면 ‘최악의’ 색은 적외선을 조금 더 흡수(우리가 열로 인식하는)하는 진한 녹색이라고 합니다. 이 실험은 쓰쿠바에 있는 일본 국립환경연구소의 연구원 이치노세 토시아키가 수행했습니다. 이 연구는 또한 가장 반사율이 높은 색이 흰색과 노란색이라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옷장에는 이 색들만 있는 것은 아닐 테니, 이 둘 사이의 색 순서는 어떻게 될까요? 2019년 이치노세 교수는 자신의 연구 그룹과 함께 보온성과 옷 색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시작했고, 어떤 색이 우리를 시원하게 해주는지 이해하기 위한 실험에 많은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치노세 토시아키 교수가 연구 결과를 설명하는 모습

이를 설명하기 전에 모든 것이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반사하지만 색에 따라 그 속도가 다르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사되지 않은 복사에너지는 열의 형태로 흡수됩니다. 즉, 반사율이 낮은 색은 쉽게 뜨거워지고 반사율이 높은 색은 차갑게 유지됩니다. 이 실험에서 이치노세는 마네킹의 몸통에 9가지 색의 폴로 셔츠를 입히고 여름 햇볕 아래 놓았습니다. 5분간 노출시킨 후, 그는 열화상 카메라로 옷감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옷감이 얼마나 뜨거워졌는지 확인했습니다.

가장 차갑게 유지된 색은 흰색이었고, 노란색(이 색의 폴로 셔츠 표면은 섭씨 30도 정도 반사됨), 회색, 빨간색, 보라색, 파란색, 녹색, 짙은 녹색, 검은색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후자는 일부 지역에서 45°C를 초과하여 가장 최악인 것처럼 보였지만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구진은 적외선을 가장 많이 흡수하는 것은 검은색(86%)이 아니라 87%에 해당하는 ‘짙은 녹색’이라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치노세는 “눈에 보이지 않는 근적외선을 포함하도록 연구를 확장한 결과, 녹색이 검은색에 상당히 가깝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두 가지 색은 같은 그룹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라고 발표했습니다.

반면에 흰색은 적외선의 63%만 흡수하여 다시 1위에 올랐습니다. 연구진은 옷에 색을 입히는 데 사용하는 염료에 따라 결과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여름 더위를 최대한 피하고 싶다면 흰색, 노란색, 회색, 빨간색 옷을 사용하고 검은색, 짙은 녹색, 초록색, 파란색, 보라색 옷은 피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습니다.